리눅스의 디렉터리 구조
arch
arm: 32비트 계열 ARM 아키텍처 코드가 있으며, 라즈비안도 이 하부 디렉터리 코드를 실행합니다.
arm64: 64비트 계열 ARM 아키텍처 코드가 있습니다.
x86: 폴더 이름과 같이 인텔 x86 아키텍처 코드가 있습니다.
/bin
/dev
drivers
Documentation
/etc
fs
home
include
include에는 커널 코드 빌드에 필요한 헤더 파일이 있습니다.
kernel
커널의 핵심 코드가 있는 디렉터리로, 다음과 같은 하위 디렉터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irq: 인터럽트 관련 코드
sched: 스케줄링 코드
power: 커널 파워 매니지먼트 코드
locking: 커널 동기화 관련 코드
printk: 커널 콘솔 관련 코드
trace: frace 관련 코드
위 디렉터리에는 아키텍처와 무관한 커널 공통 코드가 있으며, 아키텍처별로 동작하는 커널 코드는 arch/*/kernel/에 있습니다. 라즈비안의 경우 ARMv7 아키텍처 관련 코드를 arch/arm/kernel/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mm
아키텍처별로 동작하는 메모리 관리 코드는 arch/*/mm/ 아래에 있습니다. 라즈비안의 경우 ARMv7 아키텍처 관련 코드를 arch/arm/mm/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lib
/sbin
/tmp
/usr
/var
'Embedded : : Linux > : :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hell script] "∗"과"@"의 차이 (0) | 2024.10.12 |
---|---|
Linux Module Programming (0) | 2024.10.11 |
Linux, 부팅, Swap, Dependency, Boosting (0) | 2024.04.24 |
Partition 1 does not start on physical sector boundary. (0) | 2024.04.23 |
Linux - diff 명령어 사용법 (파일비교) (0) | 2024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