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 - E Architecture

EMI / EMC, 그리고 전자기학

Jay.P Morgan 2024. 3. 27. 19:48

  Intro

 

   "4파이 입실론제로분의 ~ 뮤원뮤투 ... "

   시험기간에 바짝 외운 문제풀이로 전자기학 시험문제를 풀었던 2학년.

 

   1학년 수학을 자신만만하게 풀어제끼고, 벡터는 내적과 외적만 알면 되는 줄 알았지만 ..

   벡터와 엮인 전자기학은 공식만 외우고 대입하여 풀게된다.

 

   그러고 만난 EMI / EMC, 완전히 Isolation 된 회로에서의 이상동작.

 

 

  절연 파괴 (絶緣破壞, electrical breakdown)

 

   완전히 분리된 회로에서 전자가 넘나들며 흐른다.

 

 

   가스레인지에서 배터리만으로 공기중에 Arc가 발생하며, 하늘에서 천둥번개가 내려치는 것 처럼 공기(절연물질)를 넘어서 전기가 흐르는 것 처럼, PCB 회로기판에서도 절연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.

 

   후에 전자기학, 무선통신, 안테나공학, 정보통신공학 등을 깊게 공부하니, EMI / EMC가 그림으로 그려지며 이해되었다.

   (남들은 쩔쩔매고 포기한 전자기학이, EMI / EMC를 수학적으로 풀어냈던 경험과 일맥상통하며 즐거웠던 시절)

 

 

   0과 1로 표현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보다 노이즈 마진이 더 높지만, 강력한 전자기 노이즈에는 Error Bit가 발생할 수 있다.

 

 

   특히, 모터와 같이 진동과 노이즈를 강력하게 발생하는 전기차(전동차)에서는, 노이즈 대책의 중요성이 더 부각된다.

   "갤럭시탭과 아이패드를 자동차 센터페시아에 설치하면 안되나?" 라는 질문에는, "Consumer 제품과 Industry 제품의 차이로 인해 함부로 막 갖다꽂을 수 없다"라고 답할 수 있다.